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ibrary

심장학 최신지견 따라잡기
분류
Book
ISBN
978-89-97156-32-0
페이지수
112
편집위원장
안영근
발간
※ 구매를 원할 시 아래 버튼을 클릭하여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간행위원회에서 새로운 포맷을 구상하는 것에 대해 김기식 이사장님께서 의견을 주시어 ‘심장학 최신지견 따라잡기’를 구상하게 되었습니다. ‘심장학 최신지견 따라잡기’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타 학회 컨텐츠와의 차별화 및 효율적인 전달을 중점으로 고민을 많이 하였습니다. 간행위원회 간사를 맡아주고 계신 김원 교수님과 논의하여 웹진 형태로 발행하는 것을 결정하였고, 간행위원님들과 많은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처음 1호를 발행하고 보니 부족한 점이 많았지만 2호, 3호를 거쳐 가면서 점차 발전하였고, 무엇보다도 간행위원님들의 열정과 적극적인 참여로 1년 동안 발행 작업을 즐겁게 할 수 있었습니다. 2019년 미국심장학회(ACC) 및 유럽심장학회(ESC)에서 발표된 랜드마크 임상연구 결과들을 일주일 안에 정리하여 학회의 이모저모를 사진과 함께 특집호로 소개하였고, 여러 유수 저널에서 발표된 임상/기초연구에 대한 이슈와 가이드라인을 잘 정리하고 핵심을 분석하여 임상 및 기초 과학자에게 많은 도움을 드릴 수 있었다고 확신합니다.

엄마, 아기의 심근세포는 어디에서 오는 거예요? (AHA 2019)_권유욱 

심방세동 환자가 금주를 하면 심방세동의 Burden을 줄여준다_윤남식 

증상이 없더라도 대동맥판막 협착이 심하면 조기 수술 전략의 이득이 크다_김인철 

SGLT2 억제제인 Dapagliflozin은 박출률 감소 심부전 환자에서 당뇨병의 유무와 관계없이 심혈관 사망과 심부전 악화를 감소시켰다_김인철

2019 ESC/EAS 이상지질혈증 가이드라인, 새로운 점은?_김원 

수술 저위험군에서 경피적 대동맥판삽입술(TAVR)이 수술을 뛰어넘는 결과를 보였다_이장훈 

다혈관질환을 가진 STEMI 환자에서 Complete Revascularization은 Culprit-Lesion-Only PCI에 비해서 심혈관 사망을 포함한 예후를 개선하였다_안영근

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관상동맥중재술이 약물 치료 단독에 비해 주요 심장 사건을 줄이지 못했다_이장훈

Inclisiran, 고위험 환자에서 6개월에 한 번 주사로 LDL-C을 50% 더 낮추다_김학령

New Cholesterol-Lowering Agent: PCSK9 억제제의 현재와 미래_최철웅

소금 섭취 감소를 위한 국가 정책이 필요할 때이다_박성하 

2019 유럽고혈압학회 주요 이슈 정리_박성하 

Intensive Blood Pressure Lowering이 Standard Blood Pressure Lowering에 비해 White Matter Hyperintensity, 인지기능 장애 및 보행거리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가?_박성하

미리 가보는 ISSCR 2019 Annual Meeting (6월 26일~29일)_권유욱 

체내 미생물은 관상동맥 플라크의 불안정화와 그에 따른 심장 사건 유발에 기여할 수 있다_권유욱 

적혈구의 혈관 석회화 유발 기전과 임상적 의의_권유욱

부정맥 유발성 심근병증에 대한 새로운 미국 부정맥 학회의 권고문_김진배 

심실빈맥의 전극도자 절제술에 대한 미국/유럽/아시아/라틴 아메리카 부정맥학회의 권고문_김진배

심기능이 저하된 심부전 환자에서 ICD 유용성은?_김진배 

2018년 유럽심장학회 가이드라인에 근거한 임신 시 부정맥 치료의 최신 지견_윤남식, 정형기

Apple Heart Study(Assessment of Wristwatch-Based Photoplethysmography to Identify Cardiac Arrhythmias): PPG 기반 애플워치의 심방세동 진단 양성 예측도는 84%이다_윤남식 

AF 환자에서 ACS 또는 PCI가 발생한 경우 P2Y12 Inhibitor+Apixaban이 P2Y12 Inhibitor+Warfarin보다 출혈의 발생을 줄여준다: AUGUSTUS Trial_윤남식

PCI를 받은 심방세동 환자에서 NOAC+Mono-Antiplatelet 치료는 안전하다_윤남식

관상동맥질환을 동반한 심부전 환자는 정상 심박동이라 하더라도 혈전색전증의 위험이 높으며, Rivaroxaban의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다_김인철

Sacubtril-Valsartan은 박출률 보존 심부전 환자에서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과 심혈관 사망률을 낮추지 못하였지만, EF 57% 이하인 환자와 여성 환자에서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_김인철

SGLT2 억제제인 Dapagliflozin은 심부전 가이드라인을 바꿀 것인가?_김인철

LVAD의 새로운 시대를 알린 MOMENTUM 3 연구: Hemocompatibility를 개선한 자기 부상 LVAD Heart Mate 3 임상연구 최종 보고서를 살펴보다_윤종찬

어떤 HFpEF환자에서 ARNI가 도움이 될까?_윤종찬

티카그렐러의 항혈소판 효과를 응급으로 역전(Reversal)시키는 주사제 개발에 성공해_김원

우리나라의 스텐트 시술 환자에서 3개월 DAPT는 혈전성 합병증 방지에 효과적일까?_김원 

심정지에서 회복된 환자가 STEMI가 아닐 때, 응급 CAG는 지연(Elective) 검사에 비해 생존에 더 유익하지 않았다_김원

고위험군 환자에서 PCI 후 티카그렐러 단독요법은 티카그렐러 DAPT에 비해 허혈성 사건의 증가 없이 출혈성 사건을 감소시켰다_안영근

수술 저위험군에서 경피적 대동맥판막삽입술(TAVR)은 수술과 대등한 결과를 보였다_이장훈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에서 일상적인 우울증 선별검사는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지 못했다_이장훈 

급성심근경색 환자에서 약물용출성 풍선이 약물용출성 스텐트와 유사한 성적을 보였다_이장훈 

Small Coronary Artery Disease 환자에서 Ultrathin Strut Coronary Stent의 유용성_이장훈 

Prasugrel이 관상동맥중재술이 예정된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에서 Ticagrelor보다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_이장훈 

심방세동이 동반된 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Rivaroxaban 단독요법는 Rivaroxaban 및 항혈소판제의 병합요법에 비해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_이장훈 

심정지 후 ST분절 상승이 없는 환자에서 응급 관상동맥조영술은 지연 관상동맥조영술에 비해 사망률을 줄이지 못했다_이장훈

2019 ESC Guidelines on Chronic Coronary Syndrome_최철웅

TAVR 후 NOAC이 좋을까? 항혈소판제가 좋을까? 최선의 우수한 조합은?_최철웅

TAVI 시술의 최근 경향: 무엇이 바뀌고 있나?_홍순준

심혈관 중재술을 받은 환자, 과연 출혈로부터 안전한 것인가?_홍순준 

Ticagrelor와 Aspirin 병합요법은 위약과 Aspirin 병합요법에 비해 심혈관 사건 발생을 감소시켰으나, TIMI 주요 출혈을 증가시켰다_홍순준 

Remote Ischemic Conditioning은 STEMI 환자에서 임상적 이득이 없었다: 역사의 뒤안길로_홍순준 

심근경색 환자에서 저용량 Colchicine은 주요 심혈관 사건을 감소시켰다_홍순준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에서 풍선확장형 판막을 이용한 TAVR는 자가팽창형 판막을 이용한 TAVR보다 판막 주위 누출 및 2년째 사망률에서 우월하였다_홍순준

2019 ACC/AHA Guideline on the Primary Prevention of CVD_김원 

심혈관 건강을 위해 아침 식사를 꼭 합시다_김원 

고용량의 Icosapent Ethyl 치료는 죽상경화성 플라크 진행을 억제하였다. 오메가3 지방산 너도 할 수 있었니!!_김원

계열 최초 BET 단백질 억제제 아파베탈론, 심혈관계 최초 임상(BETonMACE)에서 유의한 효과 없어_이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