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말초동맥질환, 대동맥질환 및 정맥질환의 경피적 중재술
일반적으로 말초동맥질환은 팔다리 혈관의 협착 또는 폐쇄로 인한 혈류장애를 의미하며, 광범위하게는 관상동맥, 뇌동맥, 대동맥과 같은 중심동맥을 제외한 모든 혈관질환을 포함한다.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부위는 하지동맥이며, 그 외에도 콩팥동맥, 경동맥이나 쇄골하동맥, 척추동맥, 장간막동맥에서도 발병한다. 한편, 대동맥질환으로는 대동맥 박리(aortic dissection)와 대동맥류(aortic aneurysm)가 대표적이며, 치료와 추적 관찰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매우 치명적일 수 있다. 말초동맥질환과 대동맥질환은 고혈압, 흡연, 고령 또는 고지혈증 등과 연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위험인자들을 가진 고위험군의 증가와 진단 기술의 발전 및 선별 검사의 보편화 등으로 인해 유병률이 크게 증가하였다.
정맥질환 중 가장 대표적인 혈관질환은 심부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과 하지정맥류이다. 특히, 심부정맥 혈전증은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의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경피적 중재술(percutaneous intervention)은 약물치료나 수술만이 가능했던 말초동맥질환, 대동맥질환 및 정맥질환을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게 함으로서, 이러한 혈관질환들의 치료법이 발전하고, 보편화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진단 및 추적 검사_최영진
시술기구_나승운, 박상호
중재술_김원, 강원유
임상연구 결과_이승환
진단 및 추적 검사_최영진
중재술_채인호, 서재빈
임상연구 결과_이승환
서론_나승운, 박상호
진단_고영국
시술기구_이승환, 이종영
중재술_나승운, 박상호
외과적 치료_소병준
세포치료, Stem Cell 및 Angiogenesis_한승규
임상연구 결과 및 예후_김원, 강원유
경동맥 중재술_심원흠, 이재환
쇄골하동맥 중재술_고영국
척추동맥 중재술 _고영국
흉부 대동맥내 인조혈관 스텐트 삽입술_강웅철
하이브리드 대동맥내 인조혈관 스텐트 삽입술_공준혁
임상연구 결과_이한철
혈관내 대동맥류 재건술_고영국
복부 대동맥류의 수술적 치료_김영욱, 허선희
임상연구 결과_최승혁
혈관내 누출의 치료_원종윤
신동맥 중재술_고충원
간막동맥 중재술_제환준, 원제환
하지정맥류의 치료_박상우
하지 심부정맥 혈전증의 치료_권세환
합병증과 관리_나승운, 박상호, 정우영, 안태훈